산야초재배기술전문가과정
산야초재배기술전문가과정
교육목표
- 기본소양과 산야초전문지식을 고루 갖춘 인재육성 및 발굴
- 약용식물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한 소득증대 기여
- 산야초의 식이요법, 효소 제조를 통한 상품화 전략
교육대상
- 산야초를 재배하는 자, 산 소유자, 개인 소유의 산에 산야초를 재배하고자 하는 자 등
교육방법
- 교육 참가자의 직접 실천능력을 강조한 자기주도적 학습방법 교육
- 선진사례 탐구를 위한 관내 견학 및 관외선진지 견학
- 현장체험 위주의 교육(과제설정, 해결, 지도, 완성)
교육내용
- 산야초의 가공 및 유통
- 산야초의 사례 발표
- 산야초의 효능 및 개발방향
산야초를 선택하기에 앞서 고려해야할 사항
- 산야초의 이용성 : 예를 들어 내가 재배뿐만이 아니라 장아찌 생산까지 고려한다면 산마늘이 더 이용성이 높을 수 있다. 허나 산야초를 이용한 산야초 차에 집중을 한다면 취나물 종류가 더 이용성이 높을수 있다. 또한 뿌리만 이용 가능한 것, 뿌리뿐만이 아니라 잎, 줄기도 이용가능 한 것 등에 따라 부가가치가 더 오를 수 있다. 즉 내가 A라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면 A의 작물이 B라는 작물에 비해 그 목적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산야초 재배의 용이성 : 척박한 땅에서 잘 자라는 눈개승마와 그 반대인 산마늘에 대한 용이성은 눈개승마가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또 음지에서 유난히 못 크는 작물이 있는가 하면 양지에서 유난히 못 크는 작물도 있다. 이처럼 각 작물 재배의 특성에 맞게 함으로써 실패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재배에 있어서 잡초관리가 중요한 부분인데 재배 초기에만 잡초관리를 해주면 되는 산야초가 있는가 하면 크는 내내 잡초관리를 해줘야 하는 산야초도 있기에 재배의 용이성을 잘 따져봐야 할 것 이다.
- 재배할 토지에 대한 이해 : 자신이 소유한 토지가 남향이냐 북향이냐에 따라서도 재배작물이 좌지우지된다. 물론 어느 방향이건 잘 자라는 산야초도 있지만 대체로 산야초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한다. 그리고 물 빠짐도 중요한 요소이다. 토지의 특성에 맞게 재배하는 작물을 달리하는 것도 필요하다.
- 산야초 특성에 대한 이해 : 산야초는 각각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양지를 좋아한다거나 음지를 좋아한다거나 또 습한 곳을 좋아한다거나 건조한곳을 좋아하거나 이처럼 산야초의 각각의 특성을 이해한 다음 재배를 시작한다면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출처:http://blog.daum.net/demi/165
교육프로그램 이미지
이사장 : 안진찬 주소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운주산로 606(동림권역체험관) TEL : 044)864-9965
대전본부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중로 138, 509호(둔산동, 주은오피스텔) TEL : 042)471-9961~3
FAX : 042)471-9964 | E-mail : jcan600@nate.com | 사업자등록번호 : 890-82-00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