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정원사

 목적 및 필요성

1. 전문성 및 기술력 향상

  • 식물 생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토양, 식물 병충해, 비료 관리 등)을 체계적으로 습득.
  • 조경 설계, 관수 시스템, 유지보수 등의 실무 역량을 강화.
  • 정원 관리의 품질을 높이고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함.

2. 환경보전 및 생태계 복원

  • 도시화로 인해 파괴된 생태계를 복원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
  • 친환경적인 정원 관리 기법(예: 유기농법, 물 절약 기술)을 배우며 지속 가능한 환경을 조성.
  • 기후변화에 적응 가능한 식물 선택 및 관리 기술 교육.

3. 정원 및 조경 산업 성장

  • 정원사 교육은 조경 및 원예 산업에서의 전문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
  • 정원 및 녹지 공간 조성을 통해 주거 환경 개선, 지역 경제 활성화, 관광 자원화 기여.
  • 정원사 직업의 전문성을 강화하여 산업 내 경쟁력을 높임.

4. 삶의 질 향상

  • 아름답고 건강한 정원 조성은 사람들의 심리적 안정감과 정서적 만족감을 높임.
  • 정원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 정서적 치유, 창의성 발달을 지원.
  • 정원 활동은 육체적 건강에도 기여하는 효과적 운동.

5. 도시 환경 개선

  • 도시 열섬 현상 완화 및 대기질 개선에 기여.
  • 녹지 면적을 늘리고 공원 및 정원 공간의 질적 향상으로 도시의 쾌적함 증대.
  • 소규모 정원(커뮤니티 정원, 옥상 정원 등)을 통해 도시민과 자연을 연결.

6. 고용 창출 및 경제적 기회 확대

  • 정원사 교육은 취업 및 창업 기회를 제공하여 고용 창출 효과.
  • 정원 관리 서비스, 원예 제품 판매, 조경 설계 등 다양한 경제적 활동과 연계 가능.
  • 고급 정원 관리와 설계를 필요로 하는 시장 수요 충족.

7. 정원 문화 확산

  • 정원사 교육을 통해 정원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지역 및 국가의 정원 문화를 활성화.
  • 전통 정원 기술의 계승과 현대적 응용을 촉진.

정원사 교육은 단순한 기술 습득을 넘어, 환경 보전과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며 경제적 기회를 확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정원 조성과 관리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기대효과

1. 전문성 및 기술력 강화

  • 식물의 생육, 병충해 관리, 토양 관리 등 정원 유지에 필요한 전문 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
  • 조경 설계, 관수 시스템 설치, 계절별 관리 기술 등을 학습하여 효율성과 품질 향상.
  • 지속 가능한 정원 관리 기법을 통해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2. 환경보전 및 생태계 복원

  • 정원 활동을 통해 도시화로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고, 생물다양성 증진에 기여.
  • 친환경적인 원예 기술(예: 무농약 관리, 물 절약 관수)을 적용하여 환경 보호.
  • 정원 조성을 통해 미세먼지 저감, 열섬 현상 완화, 공기질 개선 효과 제공.

3. 도시와 지역사회 발전

  • 공공 정원, 커뮤니티 정원 조성을 통해 지역 주민 간 소통과 협력 증진.
  • 도시 내 녹지 공간 확대를 통해 주민의 삶의 질 향상.
  • 지역사회를 위한 정원 관리 및 원예 프로그램 개발로 긍정적인 사회적 영향.

4. 경제적 기회 창출

  • 정원사 교육을 받은 전문 인력은 정원 관리 서비스, 원예 사업 창업, 조경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가능.
  • 정원 관리와 관련된 부가가치 창출(예: 고급 조경, 특화된 정원 디자인)로 경제 활성화.
  • 지속적인 고용 창출과 관련 산업의 발전에 기여.

5. 국민 건강과 삶의 질 향상

  • 정원 가꾸기 활동은 신체적 건강 증진과 정신적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
  • 치유 정원, 테라피 정원 등 정원의 치유 효과를 활용하여 국민 복지 향상.
  • 아름답고 조화로운 정원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심미적 만족 제공.

6. 정원 문화 확산 및 발전

  • 정원사 교육을 통해 전통 정원 관리 기술 계승 및 현대적 정원 디자인 발전.
  • 정원을 활용한 예술적, 문화적 활동으로 지역 및 국가의 정원 문화 활성화.
  • 자연과의 연결성을 느끼고 자연을 존중하는 문화를 확산.

7. 지속 가능한 발전 기여

  • 정원 교육을 통해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와 연계된 환경 관리 및 활용 방안 학습.
  • 폐기물 재활용, 물 절약, 유기적 관리 기술 등 정원에서의 친환경 실천 장려.
  • 환경적으로 책임감 있는 정원 관리로 지속 가능성을 증대.

8. 커뮤니티와 사회적 통합 강화

  • 커뮤니티 정원 활동을 통해 지역 주민 간 소통과 협력을 증대.
  • 정원사 교육을 받은 이들이 다양한 사회적 활동(학교 정원, 공공 녹지 조성 등)에 참여하며 긍정적인 사회적 변화 촉진.
  • 정원을 통한 세대 간 교류와 공동체 문화 형성.

 교육 실적

NO
과정명
위탁 시군
교육기간
교육인원
12024년 제7기 정원사양성과정
평창군청24.03.15~24.06.0729명
22025년 제8기 정원사양성과정
평창군청25.03.05~25.05.30-















 교육 문의

TEL : 042-471-9961  /    E-Mail : jcan600@nate.com

이사장 : 안진찬 주소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운주산로 606(동림권역체험관) TEL : 044)864-9965

대전본부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중로 138, 509호(둔산동, 주은오피스텔) TEL : 042)471-9961~3

FAX : 042)471-9964 | E-mail : jcan600@nate.com | 사업자등록번호 : 890-82-00049